Sponsorship for the publication of the photobook 'Finding the Way to Tae Kwon Do'!
Updated: Aug 12, 2020
Sponsorship for the publication of the photobook 'Finding the Way to Tae Kwon Do'!
We publish a photo book based on photos, press releases, and testimonies from those who have been there.
As those who have written Taekwon-do books know, Taekwon-do-related publications do not write books for economic benefits. It is published as a responsibility to leave taekwon-do history to posterity.
Therefore, I respect those who wrote a book about Taekwon-do that doesn't cost printing money.
I studied for 35 years and prepared for 20 years to publish a collection of pictures related to taekwon-do.
It was a difficult process for me to meet, listen, collect, and even as an individual, it is not easy now.
There are still many seniors from all over the world who need to meet with them regarding Taekwon-do pioneer. But as individuals, there is a limit.
Taekwon-do to the North, published in 2018, also has your help and strength.
It's been published.
We ask you to sponsor the publication of a photo book, "Finding the Way to Tae Kwon Do," which includes a total of 1,800 photos and 700 press releases.
And your support will be used for better data collection for taekwon-do history records.
-Finding the way to Tae Kwon Do (a Korean-language English-language version): It is expected to cost 50.00 US
It is expected to be published on April 20, 2020. Sponsors will mail the book with publication.
(If you sponsor more than 95.00 US, you will be sent by mail when the photo book is published. please leave a comment here.)
=Bank deposit without a bankbook:=
- Bank Name : KEB Hana Bank
- Bank Address : 35, Eulji-ro, Jung-gu Seoul,South Korea (04523)
- Swift code/Bic code): KOEXKRSE
(an eleven-digit bank : KOEXKRSEXXX)
- Beneficiary name : JEONG, SOON CHEON
- Beneficiary Acct. No. :289-910014-00305

1-청도관,송무관 Cheongdo-kwan, Songmoo-kwan
청도관은 일제시대 일본 가라데를 배운 이원국이 1944년 서울에서 당수도로 시작되었으며 송무관 역시 일본에서 이원국과 함께 가라데를 배운 노병직에 의해서 황해북도 개성에서 1947년 시작되었으며 일본의 송도관(쇼도깡 가라데)의 “도”와 “송”을 인용했다.
사진에도 있지만 1947년 송무관 개관식에 이원국이 청도관 수련생들을 데리고 가서 연무 시범을 하기도 했다.
Cheongdo-kwan, Songmoo-kwan
Cheongdo-kwan was founded in 1947 in Gaeseong, North Hwanghae Province, by a veteran officer who learned Japanese karate from Seoul to Tangsoo-do in 1944. Songmoo-kwan also learned karate with Lee Won-guk in Japan.
And the two kwan cited "do" and "song" from Japan's Songdo-kwan
In the photo, Lee Won-guk took Cheongdo-kwan Trainees to the opening ceremony of Songmoo-kwan in 1947 to demonstrate the choreography.

2-조선연무관,YMCA권법,창무관 The Joseon Yeonmoo-kwan YMCA, Changmoo-kwan
조선연무관은 1946년 전상섭에 의해서 시작 되었다는 기록과 함께 1950년 전쟁통에 전상섭이 행방불명되고 전쟁이후 지도관으로 이어진다.
YMCA권법이라고 하는 것은 윤병인이 1946년 서울 종로 YMCA 기독교 회관에서 무술을 가르쳤으며 전쟁이후 이남석이 주축으로 창무관으로 시작되었다.
The Joseon Yeonmoo-kwan Administration recorded that it was started by Jeon Sang-sup in 1946, and it led to the disappearance of Jeon Sang-seop in the 1950 war and the post-war leadership.
The YMCA Act is called "Yoon Byung-in taught martial arts at the YMCA Christian Center in Jongno, Seoul, in 1946, and after the war, Lee Nam-seok started as Changmoo-kwan

윤병인은 해방이후 조선권법,가라데를 혼용한 무술을 가르친 흔적이 있으며 그의 일생에 관련해서는 1950년 이후 행방에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북측에서 격술을 지도했으며 1983년 폐암으로 세상을 떠난 기록이 있다.
그에 관련해서는 여러 사료들이 있으며, 중국에서 어린시절 무술을 배워 청년시절에는 일본에서 가라데를 수련했다는 기록들이 있다.
Yun Byung-in has shown signs of teaching martial arts mixed with the Joseon Rights Act and karate since liberation.
Regarding his life, there is no accurate record of his whereabouts after the war in 1950, but he guided martial arts in the North and died of lung cancer in 1983.
In this regard, there are various feedbacks, and records show that he learned martial arts as a child in China and practiced karate in Japan as a young man.

3-태권도 태동기
태권도란 무도명으로 연구,개발이 시작한 것은 1953년 최홍희 장군이 29사단을 창설 하면서 사단마크에 주먹을 그려 넣어면서 시작되었다.
최홍희 장군의 생전 증언에 의하면,
어릴 때 옥람 한일동 선생에게 서예와 태껸을 배우면서 태껸의 “태” 음운을 따서 이승만 대통령 앞에서 당수도 시범을 보이던차, 이대통령의 “태껸”이라는 말과 함께 1954년부터 당시에는 옥편에도 없었던 “跆” 자를 발견해서 “태권도”를 탄생하였다고 했다.
태권도 명칭이 이대통령 재가를 받은 1955년 이후 강원도29사단에 최초로 "태권"이라고 군인들에게 경례가 시작되면서 본격화되었다.
태권도를 처음 세상에 만든 최홍희 총재는 1955년 4월11일 을 “태권도 탄생일”로 재정했다.
그리고 1959년3월, 군(軍 )에서 최홍희 장군은 최초의 해외시범단을 조직했는데, “국군태권도시범단”이다.
(자세한 것은 사진과 함께 공유하며, 사진속의 내용이나 참여한 인물을 아는 사람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The Time of the Birth of Taekwon-d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aekwon-do began in 1953 when General Choi Hong-hi drew his fist into the division mark when he founded the 29th Division
Choi Hong-hi learned calligraphy and Taekkeon's calligraphy from lecturer Han il dong. quote the letter "tae."
While performing Tangsudo in front of President Syngman Rhee, Lee's words "teakkeon" and his discovery of "Tae" characters, which were not even in the Chinese-language dictionary at the time since 1954, will give birth to "Taekwon."
The name of taekwon-do began in earnest with the start of saluting soldiers to the 29th Infantry Division in Gangwon Province for the first time since 1955, when it was approved by President Lee.
Choi Hong-hi, who first made taekwon-do into the world, announced on April 11, 1955 that it was the birth day of Taekwon-do.
And in March 1959, General Choi Hong-hi in the military organized the first overseas demonstration group, the "National Taekwon-do Performance Corps."
(The details are shared with the picture, waiting for the content of the picture or the story of someone who knows the person involved.)

4-최홍희 총재의 유적지
태권도를 창시한 최홍희 총재는 대한민국 군(軍) 창설한 멤버이자, 1944년 평양학병 사건으로 일본에 항거했다.
당대의 서도가 이면서 30대 초반에 장군이 되어 해방 이후 당수도,공수도 무도를 국내로 도입하여 “태권도”란 우리 민족 무도로 재 탄생시킨 태권도의 창시자 이다.
그의 발자취는 곧 태권도 초창기,1955년부터 한국의 여러곳에 유적지를 남겨 놓았다.
그러나 그의 유적지는 정치권에 탄압되어 그가 한국을 떠난, 1972년부터 지금까지 파괴되기도 하고 일부는 아직도 남아있다.
Historical site of Choi Hong-hi
Choi Hong-hi, who founded Taekwon-do, is a member of the Korean military and an anti-Pyongyang academic ca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the West Island of the day became a general in his early 30s, he introduced the Tangsu and Gongsu Mudo in Korea after liberation, and re-created "Taekwon-do" as a Korean national mudo.
His footsteps soon left historical sites in many places since the early days of taekwon-do, 1955.
However, his sites have been destroyed and some still remain since 1972, when he left Korea after being suppressed by Korean politicians.


5-최초의 해외 태권도 시범단
대한민국 역사에 최초의 해외 “태권도 시범단”은 1959년 3월 최홍희 현역 장군에 의해서 “국군태권도시범단”의 명칭으로, 단장 최홍희, 지휘관 남태희등 군인 19명으로 구성하여 월남과 대만을 순회하면서 시범을 했다.
“태권도”란 무도명이 해외 시범단으로 최초로 알려진 시범단은 당시 한국에서 군 전용기를 이용해서 이동했을 정도로 최홍희 장군의 힘이 작용한 부분이다.
1965년 9월 최홍희 장군은 “국기태권도친선사절단” 이라는 기념품을 준비 해서 한차교,김중근,박종수,권재화 4명의 시범단을 인솔해서 구라파,아프리카 순회 태권도 시범을 40여일간 12차례 시범, 순회 했다.
“구아시범단”은 1년뒤 국제태권도연맹 창설의 모티브 역할을 하게 되었다.
The first overseas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in history
The first overseas "Tae Kwon Demonstration Team" in Korean history was named by General Choi Hong-hi in March 1959.
The 21-member team toured Vietnam and Taiwan for a demonstration. The name "Tae Kwon" was first known as an overseas demonstration team. At that time, they were moved by a military plane.
Gua demonstration team
In September 1965, General Choi Hong-hi prepared a souvenir called the "National Taekwon-do Mission" and led a demonstration team of four students, Han Cha-gyo, Kim Joong-geun, Park Jong-su and Kwon Jae-hwa, to demonstrate taekwon-do in Gurapa and Africa 12 times over 40 days.
The gua demonstration team will serve as the motif behind the creation of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a year later.







6-해외 시범단과 개척의 시기
1955년 태권도란 무도명이 탄생하면서 해외로 개척하는 시기는 1959년 해외 국군태권도시범단의 시작으로 급속도로 해외로 보급하게 되었다.
1959년 이후부터 1965년 최홍희 장군이 조직한 “구아시범단”(구라파,아프리카) 순회 시범과 함께 1966년3월 22일 국제태권도연맹 창설과 함께, 1973년 세계태권도연맹 창설, 1980년 ITF태권도 북측으로 들어가면서 정통 태권도가 재도약을 하는 반면, WT, 세계태권도연맹의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채택으로 스프츠 태권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외 사진 속 인물사진 아시는 분 기록 연락을 기다립니다.)
Time for Overseas Demonstrators and Pioneers
Taekwon-do started when the name of the ball was created in 1955 and it was developed overseas.
Since 1959,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on March 22, 1966, along with the demonstration of the Guashibundan (Gurapa, Africa) tour organized by General Choi Hong-hi in 1965,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in 1973 and the ITF Taekwon-do in 1980 entered the North, while the WT and the adoption of the 2000 Sydney Olympics in 2000.
(We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anyone who knows the picture in the picture.)


7-박정희 대통령과 남태희 President Park Chung-hee & Colonel Nam Tae-hee
이승만 초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시작하여 박정희 정권의 시간까지 최홍희 장군의 태권도 과정은 탄생의 시기와 함께 마찰과 반목의 시기였다.
군서열상 박정희 대통령보다 위에 있었던 최홍희 장군은 결국 위기감을 느끼고 되면서 1972년 캐나다로 ITF 조직과 함께 망명하였다.
Starting as the first South Korean president, Rhee Syng-man, until the time of Park Chung-hee's military rebellion, General Choi Hong-hi's taekwon-do process was a time of friction and antagonism, along with the time of birth.
General Choi Hong-hi, who was superior to military-grade President Park Chung-hee, ended up feeling a sense of crisis and defected to Canada in 1972.

8-구아 시범단
1965년 9월 최홍희 장군은 “국기태권도친선사절단” 이라는 기념품을 준비 해서 한차교,김중근,박종수,권재화 4명의 시범단을 인솔해서 구라파,아프리카 순회 태권도 시범을 40여일간 12차례 시범, 순회 했다.
“구아시범단”은 1년뒤 국제태권도연맹 창설의 모티브 역할을 하였다.
Gua demonstration team
In September 1965, General Choi Hong-hi prepared a souvenir called the "National Taekwon-do Mission" and led a demonstration team of four students, Han Cha-gyo, Kim Joong-geun, Park Jong-su and Kwon Jae-hwa, to demonstrate taekwon-do in Gurapa and Africa 12 times over 40 days.
The gua demonstration team will serve as the motif behind the creation of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a year later.


9-ITF 국제태권도연맹 창설
1966년3월22일, 우리 민족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창립한 “국제태권도연맹”은 한국을 비롯해서 베트남,말레이시아,싱가폴,미국,서독,이태리,터키,아랍공화국등 9개국으로 이루어졌다.
초대 총재: 최홍희 , 2대 총재:장웅, 3대 총재:리용선(2015~)
The creation of the ITF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Founded on March 22, 1966, as the fir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the Korean people,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consisted of nine countries including Vietnam, Malaysia, Singapore, the United States, West Germany, Italy, Turkey, and the Arab Republic, including South Korea.
First President: Choi Hong-hi
Second President:Chang ung
Third President: Ri Yong-son (2015~ )

10-1984년 세계 최초의 태권도 우표와 터키
1970년 터키 정부 체육상의 초청으로 처음 파견된 조수세 사범은 터키 태권도 개척자로서 1984년 터키 정부에서 세계 최초로 태권도 기념 우표를 발행하기도 했다.
1984 World's First Taekwon-do Stamp, Turkey
Jo Su-se, who was first sent to Turkey in 1970 at the invitation of the Turkish government's sports minister, was a pioneer in Turkish taekwondo and was the first Turkish government to issue a commemorative stamp for taekwon-do in 1984.

11-극진 가라데 최배달과 태권도
극진가라데 창시자 최배달과 태권도 최홍희 총재의 일시적 교류
Kukjin Karate Choi Baedal and Taekwon-do: Temporal Exchange between Kukjin Karade founder Choi Baedal and Taekwon-do President Choi Hong-hi

12-정치와 태권도
태권도의 탄생 과정에는 국가라는 최대 권력의 뒷받침이 있었으며, 그것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의 1944년 평양학병 의거, 일제에 투쟁했던 최홍희란 걸출한 인물이 그 시대에 있어서 가능했다.
그는 이승만 정부에서는 한국 군대의 창설멤버로서 태권도를 탄생하게 하였으며, 박정희 정권으로 이어졌으나 박정권 하에서 망명한 최홍희 총재는 1980년 북으로 귀의하여 김일성주석의 절대적인 후원을 받어면서, 남에서 탄생하여 북에서 정통 무도를 완성하게 되는 태권도는 지금 까지 남과 북을 이어가는 유일한 우리민족의 순수 종목의 문화상품이다.
Politics and Taekwon-do
The birth process of Taekwon-do was backed by the greatest power of the nation, and it was possible in that era that Choi Hong-hi, a prominent figure who had a 1944 anti-Japanese struggle befo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able
He created Taekwon-do as a founding member of the Korean army under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which led to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Choi Hong-hi, who defected under Park Jung-kwon, went to the North in 1980 to receive state sponsorship from President Kim Il-sung.
The history of taekwon-do, which was born in the South and completed the traditional martial art in the North, is the only representative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that continues the South and the North until now.

13-태권도 제2의 도약으로
ITF 태권도는 1966년 한국에서 창설되었으며 1972년 창설자 최홍희 총재는 캐나다로 ITF와 함께 망명을 했다.
그 이후 한국에서는 1973년 김운용 총재에 의해서 세계태권도연맹이 창립 되면서 먼저 세계화에 정착한 ITF와 WT는 해외에서 심각한 반목을 하였다.
최홍희 총재는 ITF 조직을 가지고 캐나다에서 재건 하려고 노력 했지만 WT의 국가적이고 조직적인 핍박으로 ITF 해외 사범들은 대한민국 정부, KCIA (국가 정보원)의 회유,협박으로 ITF를 등지고 WT로 전향할 수밖에 없었다. (KCIA 관련2008년 진화위에서 진실규명으로 확정)
1972년부터 해외에서 고군분투 하던 최홍희 총재는 ITF 태권도의 역사적인 전환점을 갖게 되는데,
1980년 10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DPR KOREA)으로 들어 가면서 시작었다.
1980년이후터 태권도는 김일성 주석의 막강한 배려와 후원으로 무도 태권도, 정통태권도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고, 1985년 유럽의 중심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ITF사무국을 두면서 세계속의 태권도로서 발전한다.
with a second leap forward in taekwon-do
ITF Taekwon-do was founded in Korea in 1966 and its founder Choi Hong-hi defected to Canada with the ITF in 1972.
Since then, when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was founded by President Kim Un-yong in 1973, ITF and WT, which first settled on globalization, have been seriously antagonized abroad.
Choi Hong-hi tried to rebuild Canada with the ITF,
Due to WT's national and systematic persecution, overseas lecturers of ITF were forced to turn to WT with their backs on ITF due to the Korean government, KCIA's conciliatory and intimidation. (Confirmed by the commission on evolution in 2008 regarding KCIA)
Choi Hong-hi, who has been struggling overseas since 1972, will have a historic turning point in ITF taekwon-do, which begins in October 1980 when he enter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 KOREA).
Since 1980, Taekwondo has become a bridgehead in enhancing the level of perfection of Mudo Taekwon-do and orthodox Taekwon-do thanks to the strong consideration and support of North Korean His Excellency President Kim Il Sung, and in 1985, it was established as an ITF secretariat in Vienna, Austria, which is central to Europe, and developed into taekwon-do in the world.

14-태권도 전당, 성지관 Taekwon-do Palace & Taekwon-do Holy Center
1090-1992년 태권도 전당과 2011년 완공 태권도 성지관
Completed in 1990-1992, Taekwon-do Palace
Taekwon-do Holy Center in 2011

15-김일성주석과 태권도
His Excellency President Kim Il Sung and Taekwon-do


16-태권도와 최홍희
최홍희 총재는 생전에 필자에게 자신이 죽으면, 관위에 “태권도”란 글자만 올려 놓으라고 했다.
자신의 이름은 최홍희도 있지만 “태권도”역시 자신이라고 했다.
President Choi Hong-hi: When he died, he asked me to write only three letters of "Tae Kwon-do" on top of the coffin . His name is Choi Hong-hi, but he also said "Tae Kwon-do" is his name

17-미국 태권도 개척자 이준구
가라데는 태권도보다 앞서 해외에 진출 되어 있었다. 태권도는 가라데가 선점한 해외 진출에서 어려운 상황에서 일부 사범들은 처음 개척의 당시에는 이미 홍보가 되어있는 가라데 간판을 이용해서 태권도 개척의 길을 걷기도 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인물이 이준구사범이다.
이준구사범은 처음 미국에서 시작할때에는 JHOON RHEE TAEKWONDO 는 작게 표시 해두고
“KARATE” 그리고 KOREAN KARATE 라고 태권도 간판을 걸고 시작 했으며 일부 증언에 의하면, “슈퍼가라데” 라고도 선전을 했다고 한다.
U.S. Taekwon-do Pioneer Lee Jun-koo
karate had advanced abroad before taekwon-do.
With karate in the difficult situation, Lee Jun-gu used karate signboard that was already promoted when he first pioneered it.
When he first started in the U.S., he marked JHOON RHEE TAEKWONDO in small letters.
And Lee Jun-gu started Taekwon-do called "KARATE" and KOREA KARATE.
They also used "Super GARATE."

18-태권도 역사의 보도자료
1953년 태권도 태동기부터 1972년 태권도가 캐나다로 망명하기전 까지의 국내,외 태권도관련 보도자료는 최홍희 총재에 의해서 정리 되어 있었으며, 2002년 4월 필자가 캐나다 최홍희 자택에서 태권도자료 전체를 북으로 보내는 작업을 하던중에 최홍희 총재는 디지털 카메라로 담아 두라고 지시하였는데,
당시 디지털 카메라 성능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태권도 자료는 18년이 지난 2019년 6월 조선태권도위원회의 협조로 태권도 성지관에 보관된 것을 다시 스캔, 디지털화 하였다.
북측의 태권도 성지관에서는 태권도와 최홍희 총재의 남측자료를 포함, 자료 전부를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잘 보관되어 있었다.
a press release on taekwon-do history
The press releases related to taekwon-do in Korea and abroad, from the time when Taekwon-do was born in 1953 to the exile of Canada in 1972, were organized by President Choi Hong-hi.
In April 2002, while I was working on sending the entire taekwon-do materials to the North from Choi Hong-hi's home in Canada, President Choi Hong-hi ordered me to keep them in a digital camera.
At that time, with poor digital camera performance, taekwon-do materials were scanned and digitized again in June 2019, with consideration from the Joseon Taekwon-do Committee.
The North's taekwon-do sanctuary museum keeps all of the materials, including materials from the South by taekwon-do and its president Choi Hong-hi, almost perfect.

19-하나의 태권도를 향하여
ITF태권도와WT태권도는 무도와 스포츠로서 세계속의 우리민족 문화로 정착했으며 2002년 6월 ITF창립자 최홍희 총재의 서거이후 2대 장웅 총재를 거쳐3대 리용선 총재로 이어오고 있으며 1973년 WT를 창립한 김운용 총재도 2017년 서거하게 되면서 WT는 현 2대 조정원 총재가 맡아오고 있다.
현재 태권도는 남북을 떠나서 하나의 태권도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IOC 국제 조직에서도 하나의 태권도를 위한 WT와 ITF의 교류를 응원하고 있다.
For one taekwon-do
ITF Tae Kwon Do and WT Tae Kwon Do were established as Korean culture in the world as a martial art and sport.
When ITF founder Choi Hong-hi passed away in June 2002, he became the second Jang Ung president and is now the third president of the RI YONG SON.
Kim Un-yong, who founded WT in 1973, also passed away in 2017, and WT is currently president of Cho Jung-won.
Currently, taekwon-do is working for one taekwon-do, leaving the two Koreas, and the IOC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also cheering for the exchange of WT and ITF for one taekwon-do.

20-태권도 길을 찾아서
1983년 사범생활을 하면서 시작된 태권도의 “정체성” 문제는 근대화 과정에서 함께한 태권도 역사를 “신화”로 포장해서 정부와 권력의 입맛에 맞게 상납한 당시 역사학자들의 글에서 염증을 느끼면서 시작되었으며, 태권도를 이세상에 처음 등장 시킨, 최홍희란 인물을 만나면서부터 그를 연구하는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태권도의 발자취를 찾아서 36년이란 세월동안 연구한 결과는,
“태권도는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알리려는 인간 최홍희의 민족정신이 1953년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1966년 그가 완성한 태권도 24개의 “틀”(품새)에서 완벽하게 대변해주고 있다.
최홍희의 민족정신 “틀” 일부를 소개하면서 “태권도 길을 찾아서” 화보집의 초판을 마무리 한다.
“”중근틀: 한일합병의 괴수인 이등방문을 하얼빈역에서 처단한 애국자 안중근 의사를 뜻한 것으로 32개 동작은 1910년 여순감옥에서 순국할 때의 연령을 의미한 것이다. (최홍희 저: 태권도와 나 발췌)””
Find the Way to Taekwon-do
The "identity" issue of taekwon-do, which began in 1983, began with an irritation in the writings of historians at the time, wrapping the history of taekwon-do together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as a "myth" and recording it to the taste of government and power.
After studying the footprints of taekwon-do for 36 years, my own result is,
"Taekwon-do is the fact that the national spirit of Choi Hong-hi, a human being, began in 1953 to promote the excellence of our nation."
It perfectly represents the 24 "Tul" taekwon-do pieces he completed in 1966.
Introducing Choi Hong-hi's national spirit "Tul," I'm about to wrap up the first edition of the photo book "Finding the Way to Taekwon-do."
Jung Geun-Tul: The number of movements meant the patriot Ahn Jung-geun, who killed YEDEONGBANGGMUN, the monster of the annexation of Korea, at Harbin Station, and the number of 32 movements represented the age of his country's martyrdom in the Yeo Soon prison in 1910.

21-태권도 역사 속 인물들 People with Taekwon-do History

화보집:20년간 수집한 1800여장의 사진자료와 500여장의 보도자료들은 2019년 6월 평양을 방문, 태권도 성지관의 ITF최홍희총재의 자료 전체를 수집 하게 되어 비로소 화보집을 출판 하게 되었습니다.
Photographs: 1,800 photographs and 500 press releases collected over 20 years.
In June 2019, I visited Pyongyang and collected the entire data of Choi Hong-hee, president of ITF at the Sungji Hall of Taekwon-do, which led me to publish a photo book.
- Master Jeong Soon-cheon, a Taekwon-do researcher (ITF member of the Public Relations Committee)
“태권도의 길을 찾아서” 화보집 출판 후원.
태권도 역사를 사진과 보도자료, 그리고 태권도 역사와 함께하신 분들의 증언을 토대로 화보집을 출간합니다.
책을 쓰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태권도 관련 출판은 경제적인 이익을 목표로 책을 쓰지 않습니다. 태권도 역사를 후대에 남기려는 책임감으로 출판들 합니다.
해서 인쇄비도 나오지 않는 태권도 관련 책을 쓰신 분들이 존경스럽습니다.
35년을 공부하고 수집한 태권도 관련 화보집을 출판하려고 20년을 준비했습니다.
태권도 역사와 함께 하신 원로 분들을 만나뵙고, 수집하는 과정은 개인으로서는 어렵고 힘든 일입니다.
아직도 태권도 개척사 관련 찾아뵈야 하는 전 세계 원로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개인으로선 한계가 있습니다.
2018년 출판한 “북으로 간 태권도” 총 1800여 장의 사진과 700여 장의 보도자료로 정리한 “태권도의 길을 찾아서” 화보집 출판에 후원을 부탁합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의 후원은 앞으로 태권도 역사기록을 위한 자료수집에 쓰도록 하겠습니다.
-태권도의 길을 찾아서 화보집(한글 영어 합본): 55000원
-북으로 간 태권도2권:15000원
2020년 11월 출판 예상합니다. 후원해 주신 분들은 출판과 함께 책을 우송해드리겠습니다.
후원 계좌: 하나은행 정순천 289-910014-00305 (입금 후 책을 받으시는 주소 문자로 부탁합니다)